맨위로가기

주고쿠 산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고쿠 산지는 돗토리현, 오카야마현, 시마네현, 히로시마현에 걸쳐 있는 산지이다. 다이센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들이 각 현의 경계를 따라 뻗어 있으며, 북쪽의 산인 지방과 남쪽의 산요 지방으로 나뉜다. 주요 산으로는 다이센산, 효노산 등이 있으며, 여러 강이 발원하여 일본해와 세토 내해로 흐른다. 과거 제철 산업이 발달했고, 산악 불교가 번성했으나, 현대에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통은 음양 연락로가 중요하며, 고속도로와 철도가 정비되어 있다. 지역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과소화와 고령화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주고쿠 산지
지도
기본 정보
이름주고쿠 산지
로마자 표기Chūgoku Sanchi
다른 이름중국산지
어원중심 국가, 가운데 나라
위치주고쿠 지방
관할 현돗토리현
시마네현
야마구치현
오카야마현
효고현
히로시마현
지리
최고봉다이센산
최고봉 위치돗토리현
최고봉 높이1729m
길이약 500km
길이 방향동서 방향
지질학적 정보
산계 정보
산맥일본 주고쿠 산지
이미지 정보
효노산
효노산

2. 지리

주고쿠 산지는 대부분 돗토리현오카야마현, 시마네현히로시마현의 경계를 따라 이어진다. 이 산맥은 서일본에서 북쪽의 산인 지방과 남쪽의 산요 지방을 나누는 분수령이자 자연 장벽을 형성한다.[1][2] 산지를 경계로 북쪽은 겨울철 일본해를 넘어오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눈이 많이 내리는 일본해측 기후를, 남쪽은 연중 온난하고 강수량이 적은 세토 내해식 기후를 보인다.

주고쿠 산지에는 효노산(氷ノ山, 1510m)처럼 높은 산들이 집중되어 있으며, 오기산(扇ノ山, 1310m), 나기산(那岐山, 1240m), 도고산(道後山, 1268m), 히바산(比婆山, 1264m), 오사산(大佐山, 1069m), 오소라칸산(恐羅漢山, 1346m), 간무리산(冠山, 1339m), 자쿠치산(寂地山, 1337m), 아오노산(青野山, 907m) 등이 주요 산이다.

주고쿠 산지의 남북으로는 기비 고원과 같이 해발 400m 정도의 고원 지형이 펼쳐져 있다. 이 고원 지대는 하천의 침식 작용으로 인해 V자 계곡이 발달하였고, 평야 지대는 쓰야마 분지, 미요시 분지 정도를 제외하면 매우 적다.

주고쿠 산지에서 발원하는 가장 큰 강은 고노카와 강으로, 산맥 남부에도 넓은 유역을 가진다. 고노카와 강의 발원 지역은 평탄한 준평원 지형이며, 세토 내해 쪽 하천과의 하천 쟁탈 흔적이 많이 남아있다. 그 외 주요 하천으로는 센다이 강, 히노 강, 히이 강, 다카쓰 강, 아부 강, 요시이 강, 아사히 강, 다카하시 강, 누마타 강, 오타 강, 니시키 강, 지쿠사 강, 이보 강, 야타 강, 마루야마 강, 이치카와 강 등이 있다.

2. 1. 주요 산

주고쿠 산지는 다이센(大山, 1729m)을 비롯하여 효노산(氷ノ山, 1510m), 미무로산(三室山, 1358m) 등 높은 산들이 많은 산맥이다. 다이센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들은 돗토리 현오카야마 현의 경계, 그리고 시마네 현히로시마 현의 경계를 따라 뻗어 있다. 이 산맥은 서일본에서 북쪽의 산인 지방과 남쪽의 산요 지방 사이의 분수령이자 자연 장벽을 형성한다.[1][2]

주고쿠 산지의 주요 산은 다음과 같다.

산 이름높이
다이센 (大山)1729m
효노산(氷ノ山)1510m
미무로산(三室山)1358m
오소라칸산(恐羅漢山)1346m
우시로산(後山)1345m
간무리산(冠山)1339m
자쿠치산(寂地山)1337m
오기산(扇ノ山)1310m
도고산 (道後山)1268m
히바노산(比婆山)1264m
나기산(那岐山)1255m
히루산(蒜山)1199m
묘켄산(妙見山)1136m
오사산(大佐山)1069m
센가봉(千ヶ峰)1005m
호부쓰산(宝仏山)1005m
셋피코산(雪彦山)915m
아오노산(青野山)907m
하쿠산(白山)510m


2. 2. 하천

주고쿠 산지는 서일본 여러 강의 발원지이다. 고노카와 강(206km)을 제외한 모든 강은 북쪽으로는 일본해로, 남쪽으로는 세토 내해로 흐른다. 고노카와 강은 히로시마현시마네현의 산맥을 따라 흐른다.[3][4][5][6][7][8]

센다이 강(52km), 덴진 강(32km), 히노 강(77km), 칸도 강(82km)은 모두 주고쿠 산지에서 일본해로 가파르게 흐른다. 요시이 강(83km), 아사히 강(88km), 오타 강(655km)은 산맥 남쪽에 넓은 충적 평야를 형성하고 세토 내해로 흘러든다.[3][4][5][6][7][8] 주고쿠 산지에서 발원하는 주요 하천으로는 그 외에도 센다이 강, 히노 강, 히이 강, 다카쓰 강, 아부 강, 다카하시 강, 누마타 강, 니시키 강, 지쿠사 강, 이보 강, 야타 강, 마루야마 강, 이치카와 강 등이 있다.

3. 생태

주고쿠 산지의 식생은 대체로 난대림(참나무, 시이, 녹나무)이지만, 해발 1000m를 넘는 산지는 온대림(참나무, 너도밤나무, 단풍나무)이다.

주고쿠 산지에 서식하는 주요 포유류는 여우, 너구리, 멧돼지, 일본원숭이, 반달가슴곰 등이 있다. 특히 반달가슴곰은 주요 먹이인 나무 열매 부족, 서식지 단절 및 축소, 사냥 압력·구제 압력 등으로 보호가 필요하다.

특징적인 양서류로는 오오산쇼우오(돗토리현, 효고현, 히로시마현, 오카야마현)가 있다.

4. 지질

주고쿠 산지는 신생대 중신세에 일본해가 확장되면서 일본 열도의 원형이 탄생한 후, 후기 중신세부터 선신세에 걸쳐 일어난 광역적인 융기에 의해 형성되었다.

주고쿠 산지에는 화강암이 많이 분포하는데, 이는 풍화되어 마사(真砂)라고 불리는 모래 알갱이로 변해 산사태를 일으키기 쉽다. 주고쿠 산지의 화강암은 산인 화강암, 산요 화강암, 료케 화강암으로 구분된다. 산인 화강암은 자철석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이 풍화되어 퇴적된 사철은 다타라 제철의 제철 원료로 사용되었다.

주고쿠 산지에는 계단식의 대지형(大地形)이 남아 있다. 도고산 부근의 해발 1200m 전후에는 준평원 지형이 보이는데, 이것을 도고산면(道後山面)이라고 한다. 그 서쪽에는 해발 800m~400m 전후의 이와미 고원(石見高原)이 있고, 남쪽에도 마찬가지로 해발 800m~400m 전후의 기비 고원이 있는데, 모두 기복이 적은 준평원 지형이다. 이것을 기비 고원면(吉備高原面)이라고 한다. 세 곳 모두 중신세 중반(약 1600만 년 전경)에 당시 해면에 가까운 높이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5. 역사

주고쿠 산지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인간 활동의 흔적이 발견된다. 히로시마현의 제석협 유적에서는 구석기 시대 유물로 추정되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조몬 시대에도 제석협을 중심으로 여러 유적이 발견되었다.

야요이 시대 주고쿠 산지 유적에서는 움집터, 동검·동탁 등의 제사용품, 고지성 취락 터 등이 발견되었다. 고분 시대가 되면 쓰야마 분지와 미마·쇼바라 분지에 고분이 만들어졌다. 이는 주고쿠 산지에서도 지배층이 출현할 만큼의 사회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고분 시대 무렵 대륙에서 제철 기술이 전래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화강암에 포함된 자철석을 자원으로 주고쿠 산지에서도 제철이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가마쿠라 시대가 되면 주고쿠 산지 각지에서 쇼엔(중세 장원)이 개발되었고, 간토의 무사들이 지토로 이주하여 토착화되었다. 그 예 중 하나가 아키모리씨이며, 전국 시대에는 모리 모토나리가 대두하여 주고쿠 지방을 통일했다.

5. 1. 제철

주고쿠 산지의 초기 제철은 철광석을 원료로 했지만, 헤이안 시대 무렵부터 사철을 원료로 바뀌었다. 사철을 사용한 제철은 다타라 제철(たたら製鉄)이라는 방법으로 발전하여 중세부터 근세까지 이어졌다.[3] 영화 ‘모노노케 히메’는 중세 주고쿠 산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다타라 제철도 이야기의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주고쿠 산지의 다타라 제철은 강바닥의 모래를 체로 걸러 사철만을 추출했다. 이 강모래 채취는 하구 부근의 사빈 형성의 원인이 되었다는 설도 있으며, 이이 강(斐伊川) 하구가 이즈모타이샤(出雲大社) 부근에서 시지도 호로 이동하거나 히노 강(日野川) 하구 부근에서 유미가하마 반도가 뻗어나간 원인 중 하나로 제철을 위한 강모래 채취가 거론되기도 한다. 또한 제철에 필요한 땔나무 공급을 위해 많은 나무가 벌채되었고, 히바산(比婆山) 주변을 중심으로 민둥산을 의미하는 "케무산(毛無山)"이라는 산 이름이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11]

5. 2. 산악 불교

헤이안 시대에 시작된 산악 불교는 주고쿠 산지, 특히 산인 쪽에서 번영했다. 산부쓰지와 다이센 산 산록에 세워진 다이센지(돗토리현 사이하쿠군 다이센정) 등이 대표적이다.[11]

5. 3. 근현대

에도 시대에는 츄고쿠 산지에도 신전(新田)이 개척되어 많은 논이 생겨났다.[11] 주요 산업은 제철이었고, 고원 지형을 활용한 소 목축도 이루어졌다.[11] 소 사육에는 목초가 필수적인데, 츄고쿠 산지 산간부에서는 이른 봄에 나타나는 안개와 비를 "야마무시(山蒸)"라고 부르며, 식물 싹트기를 촉진한다고 여겨졌다.[11]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일본은 산업이 크게 발전했지만, 츄고쿠 산지는 평지가 부족하고 교통도 불편하여 현대적인 산업 발전은 어려웠다. 고도경제성장기부터 젊은층을 중심으로 산요(山陽), 게이한신(京阪神), 도쿄 등 도시 지역으로 인구가 유출되면서 마을이 소멸한 곳도 많아 과소화가 큰 문제로 여겨졌다. 고령자 인구 비율 증가로 인한 고령화도 문제로 부상했다. 20세기 말 일본에서 과소화·고령화가 특히 심했던 지역 중 하나가 츄고쿠 산지였다. 21세기에는 그린 투어리즘 등으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움직임도 있지만, 여전히 과소화·고령화 문제는 심각하다.

6. 교통

주고쿠 산지의 교통은 산인 지방과 산요 지방을 잇는 남북 방향의 연락로, 즉 음양연락로가 중시되어 왔다. 주요 도로로는 국도 53호선(国道53号)(토토리시-오카야마시)、국도 180호선(国道180号)(요나고시-쿠라시키시)、국도 313호선(国道313号)(쿠라요시시-후쿠야마시)、국도 375호선(国道375号)(오오다시-쿠레시)、국도 54호선(国道54号)(마쓰에시-히로시마시) 등이 있지만, 모두 음양연락로이다.

한편 고속도로는 먼저 주고쿠 산지를 동서로 종관하는 중국자동차도(中国自動車道)가 정비되었다. 이로써 주고쿠 산지의 교통 상황이 크게 바뀌었다. 산요자동차도(山陽自動車道) 역시 동서 종관 도로이지만, 주고쿠 산지 최남단을 통과하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고속도로의 음양연락로로는 중국횡단자동차도(中国横断自動車道)(요나고자동차도(米子自動車道), 오카야마자동차도(岡山自動車道), 하다마자동차도(浜田自動車道), 반탄연락도로(播但連絡道路), 토토리자동차도, 마쓰에자동차도(松江自動車道), 오노미치 자동차도)가 후에 정비되었다.

주고쿠 산지의 철도 노선은 음양연락선이 주류이다. 음양연락선으로는 반탄선(播但線), 인미선(因美線)~쓰야마선(津山線), 치즈 급행, 하쿠비선(伯備線), 후쿠엔선(福塩線)~산코선(三江線)(2018년 폐지), 게이비선(芸備線)~기스키선(木次線), 니시키가와 철도, 야마구치선(山口線)이 있다. 이러한 음양연락선에는 음양을 연결하기 위한 우등열차도 운행되어 왔다. 이에 비해 동서 종관선으로는 히메신선(姫新線)~게이비선(芸備線)뿐이며, 노선의 중요도는 음양연락선만큼 높지 않다. 특히 히메신선은 세토나이카이히메지 방면으로의 도시 근교선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7. 인구

중국신문에 따르면, 중국산지에 위치한 161개의 구시정촌(헤이세이 대합병 이전 구분)의 인구는 2015년 주민기본대장 기준 86만 9935명이었다. 1965년 국세조사에서는 같은 지역에 136만 288명이 거주하여, 50년 동안 약 49만 명이 감소했다.[12]

주고쿠 산지의 인구 감소 양상은 시기에 따라 다르다. 고도경제성장기에는 모든 시정촌에서 심각한 인구 유출이 발생했다. 이후 인구 유출이 완화되어 1990년대까지 인구 감소는 비교적 억제되었다. 2000년경 이후로는 시정촌에 따라 인구 동태의 차이가 현저해졌고, 이주자 유치 등으로 인구 감소를 억제하는 자치단체도 나타나고 있다.[12]

1965년부터 2015년 사이에 인구가 절반 이하로 감소한 구시정촌도 적지 않다. 그러나 같은 기간 동안 아카이와시구마야마정이나 마쓰에시야쿠모촌 등 해안 근처 대도시 근교의 구시정촌 중에는 베드타운으로 인구가 증가한 곳도 있다. 또한, 구 미쓰시·구 지요다정 등 중산간 지역 중심지에서는 인구 감소폭이 완만했다.[12]

8. 사회 문제와 해결 노력

주고쿠신문에 따르면, 주고쿠 산지에 위치한 161개의 구시정촌(헤이세이 대합병 이전 구분)의 인구는 2015년 주민기본대장 기준 86만 9935명이었다. 1965년 국세조사에서는 같은 지역에 136만 288명이 거주하여, 50년 동안 약 49만 명의 인구가 감소했다.[12]

주고쿠 산지의 인구 감소 양상은 시기에 따라 다르다. 고도경제성장기에는 모든 시정촌에서 심각한 인구 유출이 발생했다. 이후 인구 유출이 완화되어 1990년대까지 인구 감소는 비교적 억제되었다. 2000년경 이후로는 시정촌에 따라 인구 동태의 차이가 현저해졌고, 이주자 유치 등으로 인구 감소를 억제하는 자치단체도 나타났다.[12]

1965년부터 2015년 사이에 인구가 절반 이하로 감소한 구시정촌도 적지 않다. 그러나 같은 기간 동안 아카이와시구마야마정이나 마쓰에시야쿠모촌 등 해안 근처 대도시 근교의 구시정촌 중에는 베드타운으로 인구가 증가한 곳도 있다. 또한, 구 미쓰시·구 지요다정 등 중산간 지역 중심지에서는 인구 감소폭이 완만했다.[12]

참조

[1] 백과사전 Chūgoku Mountains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9-11
[2] 백과사전 中国山地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9-11
[3] 백과사전 中国山地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9-11
[4] 백과사전 Ōtagawa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9-11
[5] 백과사전 天神川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9-11
[6] 백과사전 江の川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9-11
[7] 백과사전 神戸川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9-11
[8] 백과사전 Yoshiigawa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9-11
[9] 웹사이트 国土地理院 日本の主な山岳標高 https://www.gsi.go.j[...]
[10] 웹사이트 字室克彦君「第3回中国山脈縦断100キロウォーク大会」優勝 http://seinen-doyu.j[...]
[11] 서적 雨の名前 小学館 2001-06-20
[12] 서적 中国山地 過疎50年 未来社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